여기에는 뭐가 나오는걸까?

[블로그운영 - 팁] 나만의 도메인 연결 완전정복

Blogger(블로그스팟)에서 나만의 도메인을 연결하는 실제 후기와 단계별 방법 안내. 애드센스 승인에도 효과적인 도메인 설정법!

안녕하세요, 밥무쓰리부팅입니다.

저는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내 블로그도 드디어 주소가 생겼으면 좋겠다’는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동안 구글의 blogspot 주소는 너무 길고, 기억하기도 어려웠기 때문이죠.

그러던 중, 직접 rebootwithb.com이라는 도메인을 연결해보며 시행착오도 겪었고,
이 글은 그 과정을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정리한 실제 경험 기반 안내서입니다.

✅ 왜 도메인을 연결할까?

  • 방문자에게 기억하기 쉬운 주소 제공
  • 블로그의 브랜딩 효과
  • 애드센스 승인율 상승에도 긍정적인 요소
  • 구글 검색 노출 시 신뢰도 있는 주소 표시

✅ 도메인 연결 준비 단계

  1. 사용하고 싶은 도메인을 미리 결정
  2. Godaddy 또는 다른 도메인 등록처에서 사용 가능 여부 확인
  3. 원하는 도메인 구매 (예: .com 3년 등록 + 도메인 보호 옵션 선택)

※ 저는 Godaddy에서 등록했고,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COM 도메인 등록 - 3년 (₩66,071), 전체 도메인 보호 - 3년 (₩38,997)

✅ Blogger에서 도메인 연결하기

  1. Blogger에 로그인 → 블로그 선택
  2. 좌측 메뉴 [설정] → [게시]로 이동
  3. 사용자 도메인 입력란에 www.내도메인.com 입력 후 저장
  4. 오류 메시지와 함께 CNAME 레코드 2개가 표시됨
    예시:
    이름: www → 대상: ghs.google.com
    이름: si77lms5nrz6 → 대상: gv-aiotcbdnkjzl6c.dv.googlehosted.com
    ⚠️ 이 두 개의 정보를 꼭 복사해두세요.

✅ CNAME이 뭐예요?

CNAME 레코드는 도메인을 특정 서버로 연결시키기 위한 설정으로,
쉽게 말해 ‘주소판’을 세워주는 작업입니다.

Blogger에서 CNAME 복사 예시

✅ 도메인 등록기관에서 DNS 설정하기

  1. 도메인 관리 페이지(예: Godaddy)로 이동
  2. DNS 관리 → 기존 www 레코드가 있다면 삭제
  3. 복사한 CNAME 2개 추가
  4. 저장 클릭

주의: 기존 www 항목이 있다면 ghs.google.com 설정이 안될 수 있음

Godaddy에서 DNS 설정하는 화면 예시

✅ 다시 Blogger로 돌아와 저장

  1. DNS 설정 후 10~30분 기다리기 → 저장 버튼 클릭
  2. “HTTPS 사용” & “HTTPS 리디렉션” 항목이 표시됨
  3. 두 항목 모두 활성화(ON) 상태로 설정
HTTPS 설정 화면 예시

⏱ 연결까지 잠시 기다려야 할 수도 있어요

처음엔 “알 수 없음” 상태가 표시될 수 있지만,
보통 20~30분 정도 기다리면 연결됩니다.
이후 www.도메인.com 접속 시 블로그가 정상적으로 열린다면 성공!

📌 참고 링크


📣 마무리하며…

이 글은 제가 직접 도메인을 연결하며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 과정 중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Blogger도메인연결 #블로그스팟팁 #애드센스준비 #블로그운영 #도메인설정방법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