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는 뭐가 나오는걸까?

[Insight Library #03] 당신에게도 ‘그릿’이 있습니까?

GRIT 그릿 독서 후기. 성공은 재능이 아닌 끈기의 힘! 인생 2막에서 끝까지 해내는 사람의 비밀을 찾다. 당신에게도 ‘그릿’이 있는가?

📚 끝까지 해내는 사람의 힘, ‘그릿’

끝까지 해내는 사람의 힘, ‘그릿’을 강조하는 주황색 배경의 썸네일 이미지
안녕하세요. 밥무쓰리부팅입니다.

지난번 정대건 작가님의 『급류』를 읽은 후,  (👉 관련글 : [Insight Library #02] 정대건 『급류』)

 다음에 어떤 책을 읽을지 고민하던 중, 제목만으로는 전혀 내용을 짐작할 수 없는 책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GRIT – 그릿』.

책 표지에 적혀 있던 문구:

👉 “당신에겐 ‘그릿’이 있는가?”

이 한 문장이 저의 호기심을 깊이 자극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이 책을 읽고, 저자 엔절라 더크워스의 메시지와 저의 인사이트를 정리해보려 합니다.

🔍 작가가 말하는 ‘그릿’이란?

책 GRIT의 핵심 메시지를 상징하는 열정과 끈기의 감정을 담은 책표지

엔절라 더크워스는 ‘그릿’을 이렇게 정의합니다.

👉 “특정 상위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열정, 그리고 이를 완수하는 끈기”

즉, IQ, 타고난 재능, 환경을 모두 뛰어넘는 ‘열정적 끈기’의 힘이 바로 ‘그릿’이라는 것이죠.

특히, 그녀가 강조한 공식이 강렬하게 다가왔습니다.

  • 재능 × 노력 = 기술
  • 기술 × 노력 = 성취

결국,

성취 = 재능 × 노력²

👉 “노력은 재능보다 훨씬 더 강력한 힘이다.”

이 부분에서 저는 깊이 공감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저도 살아오며 종종 이렇게 생각하곤 했으니까요.
‘나는 이 분야에 재능이 없으니 포기하자.’

💡 나의 인사이트

이 책은 포기를 비난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상위 목표’는 절대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하위 목표는 충분히 조정할 수 있지만, 상위 목표에 대한 집착은 반드시 가져야 한다는 것이죠.

또한 하위 목표를 바꿀 때도 ‘충분히 부딪히고, 진지하게 시도한 후에’ 포기하라는 조언이 깊이 남았습니다.

👉 “충분히 해본 후에 포기해야 한다.”

저 역시 돌아보니, 충분히 해보지도 않고 ‘내가 못하는 거야’라고 단정 지은 적이 많았습니다.
어쩌면 진짜로 포기해야 하는 건 내 태도였는지도 모릅니다.

앞으로는 내 인생의 ‘상위 목표’를 더 깊이 고민하고, 하위 목표들은 부딪히고, 수정하고, 때로는 실패하면서 계속 시도해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혹시 지금 도전하고 있는 일이 있나요?
혹시 ‘재능이 없으니까 포기할까’ 고민하고 있다면, 정말 충분히 해본 후에 내린 결론인지 한번 더 생각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함께 나누고 싶은 문장

“성공은 타고난 재능이 아닌, 끝까지 해내는 사람의 몫이다.”

📝 적용할 행동

  • 내 상위 목표를 명확히 정리해본다.
  • 하위 목표에 대한 실행 계획을 세우고, 최소 30일 이상 시도해본다.
  • 충분히 부딪힌 후, 조정이 필요한지 스스로 점검한다.

✍️ 개인의견

이 글은 제가 『GRIT – 그릿』을 직접 읽고, 저의 경험과 생각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특히, 인생 2막을 시작하는 지금, 저에게 ‘그릿’은 꼭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돌아보면, 제 인생 1막에서는 순간순간 열정이 있었던 적도 있었지만,
결국 크게 보면 ‘진짜 그릿’은 부족하지 않았을까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이 책은 ‘그릿’도 충분히 개발할 수 있고, 누구나 성장시킬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이 부분은 독자님께서 꼭 책에서 직접 확인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분명히 당신의 인생에도, 내 인생에도, 아직 늦지 않았다는 희망을 전해줄 책이 될 겁니다.

🔗 해시태그

📌 #GRIT #그릿 #엔절라더크워스 #끈기의힘 #열정과노력 #포기하지않기 #자기계발 #성장하는삶 #도전하는인생 #독서일기

댓글 쓰기